맨위로가기

전성군 (148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성군(全城君)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후손이며, 이량의 아버지이다. 1488년에 태어나 1543년에 사망했다. 관직 생활을 거치며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외손녀 인순왕후가 중종의 계비가 되면서 돈녕부 주부에 제수되기도 했다. 사후에는 이량의 출세로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전성군에 추봉되었다.

2. 생애

1488년 7월 21일 효령대군의 증손이자, 여양정 이자겸(呂陽正 李子謙)과 훈도(訓導) 김기(金耆)의 딸 광산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율원군 이종(栗元君 李終)으로 적개공신이었다. 그의 생일은 오랫동안 실전되었다가 정사룡(鄭士龍)이 쓴 그의 묘비문에 7월 21일이라고 언급되면서 알려졌다.[2]

약관의 나이에 독서를 하였으며 참례도찰방(參禮道察訪)에 제수되어 관직에 나갔다가 내직으로 돌아왔다. 이후 활인서별좌(活人署別坐), 사재직장(司宰直長)을 역임했으나, 이무망좌(以無妄坐)를 이유로 파직되었다. 수개월 뒤 복직하여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 군자주부(軍資主簿),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했다.

1527년 7월 함열현감(咸悅縣監)에 임명되었다가 얼마 뒤 면직되었다. 이후 좌익찬(左翊贊), 사복시 주부, 겸한성부 참군(兼漢城府參軍), 장예 사평(掌隷司評), 종부시 주부를 거쳐 다시 사헌부 감찰이 되었다가 용강 현령(龍岡縣令), 평양진관 병마첨절제 도위,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1541년 부정(副正) 이공장(李公檣)의 천거를 받았다가 사헌부로부터 성품이 본래 침착하지 못하고 소행도 탐욕스럽고 간특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3]

여섯째 아들 이량의 영귀로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자헌대부 호조판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다른 후손들의 출세로 증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전성군(全城君)에 추봉되었다. 대한민국의 초기 정치인인 이기붕은 이량의 직계 후손이었다.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왕릉골(현,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왕릉골 부락) 좌산 경좌에 부인 동래정씨와 합장되어 있으며, 아버지 여양군, 조부 율원군의 묘소 아래에 있다.

2. 1. 가계와 초기 활동

1488년(성종 19) 7월 21일 효령대군의 증손이자, 여양정 이자겸(呂陽正 李子謙)과 훈도(訓導) 김기(金耆)의 딸 광산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할아버지는 율원군 이종(栗元君 李終)으로 적개공신이었다. 그의 생일은 오랫동안 실전되었다가 정사룡(鄭士龍)이 쓴 그의 묘비문에 7월 21일이라고 언급되면서 알려졌다.[2]

약관의 나이에 독서를 하였으며 참례도찰방(參禮道察訪)에 제수되어 관직에 나갔다가 광산김씨 혹은 대흥현부인 영광신씨의 건의로 내직으로 돌아왔다. 이후 활인서별좌(活人署別坐), 사재직장(司宰直長)을 역임했으나, 이무망좌(以無妄坐)를 이유로 파직되었다. 수개월 뒤 복직하여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 군자주부(軍資主簿),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했다.

2. 2. 관직 생활

1527년(중종 22) 7월 함열현감(咸悅縣監)에 임명되었다가 얼마 뒤 면직되었다. 이후 좌익찬(左翊贊), 사복시 주부, 겸한성부 참군(兼漢城府參軍), 장예 사평(掌隷司評), 종부시 주부를 거쳐 다시 사헌부 감찰이 되었다가 용강 현령(龍岡縣令), 평양진관 병마첨절제 도위,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1541년(중종 36) 부정(副正) 이공장(李公檣)의 천거를 받았다가 사헌부로부터 성품이 본래 침착하지 못하고 소행도 탐욕스럽고 간특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3]

2. 3. 사후

여섯째 아들 이량의 영귀로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자헌대부 호조판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다른 후손들의 출세로 증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전성군(全城君)에 추봉되었다. 대한민국의 초기 정치인인 이기붕은 이량의 직계 후손이었다.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왕릉골(현,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왕릉골 부락) 좌산 경좌에 부인 동래정씨와 합장되어 있으며, 아버지 여양군, 조부 율원군의 묘소 아래에 있다.

3. 가족 관계

전성군은 효령대군의 고손자이며, 증조부는 보성군 이합(1416년 ~ 1499년), 조부는 율원군 이종(1432년 ~ 1476년)이다. 조모는 무안현부인 동래 정씨이다. 아버지는 여양군 이자겸이며, 어머니는 신인 증 대흥현부인 영광 신씨로 상장 신윤조의 딸이다. 생모는 광산 김씨로, 훈도 김기의 딸이자 정종의 7녀 인천옹주의 손녀이다.

장인은 정종보이며, 내자시정을 지냈다. 부인은 동래 정씨( ~ 1557년 1월 9일)이다. 첩에게서는 서자 이오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서자 1명, 서녀 2명을 얻었다.

심연원, 심통원과 사돈 관계이다.

3. 1. 직계


이름출생-사망비고
이즙1503년 ~ ?년 2월 10일전주부윤
이백1504년 ~ ?
이건1505년 ~ ?이조참판
이력1507년 ~ ?
이노1509년 ~ 1566년수안군수
이박1515년 ~ 1563년 9월 7일공조참의
이량1519년 11월 17일 ~ 1582년 3월 8일
완산부부인 이희경1512년 ~ 1559년청릉부원군 심강의 처


  • 며느리

이름비고
함안 윤씨첨정 윤지청(尹之淸)의 딸
파평 윤씨충의위 윤지양(尹之讓)의 딸, 이량의 후처


  • 사위: 청릉부원군 심강(1517년 ~ 1567년)
  • 외손자/외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인순왕후 심씨명종
심인겸1533년 6월 ~ 1580년 11월 17일
심의겸1535년 ~ 1587년
심예겸1537년 ~ 1578년
심지겸1540년 ~ 1568년
심신겸1542년 ~ 1596년
심충겸1545년 ∼ 1594년
심술정1538년 ~ ?
심효겸1547년 9월 20일 ~ 1600년 9월 24일
심제겸1550년 ~ 1589년


  • 첩: 이름 미상
  • * 서자: 이오(李梧, 통훈대부)
  • * 서자: 1명 (이름 미상)
  • * 서녀: 2명

3. 1. 1. 고조부

효령대군

3. 1. 2. 증조부

보성군 이합(寶城君 李峇, 1416년 - 1499년)

3. 1. 3. 조부

율원군 이종(1432년 - 1476년)

3. 1. 4. 조모

무안현부인 동래 정씨이다.

3. 1. 5. 아버지

여양군 이자겸(呂陽君 李子謙, ? ~ ?년 1월 16일)[1]

3. 1. 6. 어머니


  • 신인(慎人) 증 대흥현부인 영광 신씨(贈 大興縣夫人 靈光 辛氏) - 상장(上將) 신윤조(辛胤祖)의 딸
  • 광산 김씨 - 훈도 김기(金耆)의 딸이자 정종의 7녀 인천옹주의 손녀 (생모)

3. 2. 배우자 및 자녀

전성군은 부인 동래 정씨와 이름 미상의 첩을 두었다. 슬하에 6남 1녀와 서자 2남, 서녀 2명을 두었다.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장남이즙(李楫)1503년 ~ ?년 2월 10일전주부윤 역임
차남이백(李栢)1504년 ~ ?
3남이건(李楗)1505년 ~ ?이조참판 역임
4남이력(李木+樂)1507년 ~ ?
5남이노(李櫓)1509년 ~ 1566년수안군수 역임
6남이박(李樸)1515년 ~ 1563년 9월 7일공조참의 역임
7남이량(李樑)1519년 11월 17일 ~ 1582년 3월 8일
며느리함안 윤씨? ~ ?첨정 윤지청(尹之淸)의 딸
며느리파평 윤씨? ~ ?충의위 윤지양(尹之讓)의 딸, 이량의 후처
장녀완산부부인 이희경(完山府夫人 李希慶)1512년 ~ 1559년
사위청릉부원군 심강(靑陵府院君 沈鋼)1517년 ~ 1567년


3. 2. 1. 부인

동래 정씨(? ~ 1557년 1월 9일)는 내자시정 정종보(鄭宗輔)의 딸이다.

3. 2. 2. 첩


  • 이름 미상[1]
  • * 서자: 이오 (통훈대부)[1]
  • * 서자: 이름 모를 서자 1명[1]
  • * 서녀: 2명[1]

3. 3. 기타

전성군은 효령대군의 고손자이며, 증조부는 보성군 이합(1416년 ~ 1499년), 조부는 율원군 이종(1432년 ~ 1476년)이다. 조모는 무안현부인 동래 정씨이다. 아버지는 여양군 이자겸이며, 어머니는 신인 증 대흥현부인 영광 신씨로 상장 신윤조의 딸이다. 생모는 광산 김씨로, 훈도 김기의 딸이자 정종의 7녀 인천옹주의 손녀이다.

부인은 동래 정씨( ~ 1557년 1월 9일)로 내자시정 정종보의 딸이다. 슬하에 6남 2녀를 두었는데,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이즙1503년?년 2월 10일전주부윤
이백1504년?
이건1505년?이조참판
이력1507년?
이노1509년1566년수안군수
이박1515년1563년 9월 7일공조참의
이량1519년 11월 17일1582년 3월 8일
완산부부인 이희경1512년1559년심강과 혼인



이량의 며느리는 함안 윤씨(첨정 윤지청의 딸)와 파평 윤씨(충의위 윤지양의 딸, 이량의 후처)이다. 장녀 이희경은 청릉부원군 심강과 혼인하여 인순왕후 심씨 등 1남 8녀를 낳았다.

전성군은 첩에게서 서자 이오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서자 1명, 서녀 2명을 얻었다.

전성군의 외손녀는 명종의 비 인순왕후 심씨이며, 외손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심인겸1533년 6월1580년 11월 17일
심의겸1535년1587년
심예겸1537년1578년
심지겸1540년1568년
심신겸1542년1596년
심충겸1545년1594년
심술정1538년?
심효겸1547년 9월 20일1600년 9월 24일
심제겸1550년1589년


3. 3. 1. 사돈

심연원, 심통원과 사돈 관계이다.[1]

3. 3. 2. 장인

정종보이며, 내자시정[1]을 지냈다.

참조

[1] 서적 李龍岡墓碣銘 幷序
[2] 서적 李龍岡墓碣銘 幷序
[3] historical record 헌부가 천거하는 자들이 사적으로 천거를 함으로 폐단이 심하다고 아뢰다 1541-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